BPM 정의는, BPM 핵심 쟁점을 전체적 시야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조력하는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BPM은 기민성과 운영성과를 향상시킨다는 목적을 가지고, 비즈니스 프로세스 환경의 거버넌스를 제공하는 관리 관행이다.
-BPM은 조직의 활동 및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지속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도록, 방법, 정책, 계측치, 관리 관행, 소프트웨어 도구 등을 적용하는 구조화된 접근법이다.
본 정의는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뉜다. 첫째로는 BPM의 범위와 의도를 전개하는 것으로, 이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환경의 거버넌스와 관련한 것이고, 이의 의도는 성과 및 기민성 면에서 향상성을 획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BPM의 접근법을 점검하는 것으로, 이는 구조화되어 있으며, 프로세스 기반 성과를 지속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관행을 적용한다.
이와 같은 관행은, 인력 및 조직, 프로세스 자체(자산으로 간주된), BPM 가능화 기술을 비롯하여, 비즈니스 및 이의 목표 정황 내에서 프로세스의 상호관계 등의 몇몇 자원을 편입시킨다. 이들의 각각은 최적의 성과를 거둘 수 잇도록 적용된다고 하겠다.
쟁점1. BPM 도입 및 투자 정당화, IT 및 비즈니스 부문의 이해관계의 균형, 전략적 조정 및 조직의 준비를 달성하는 것과 같은, 계속되는 BPM 도전 난제에 대해 최상으로 대처해온 조직의 성격에는 무엇이 있는가?
쟁점2.조직은 어떠한 방식으로 BPM 중점 방법론, 기법과 기술, 적합한 사용을 가능케 하는데 필수적인 지원 구조의 포괄적 포트폴리오를 확립할 수 있는가?
쟁점3. BPM은 어떤 방식으로 전통적 조직 경계의 혼란, 비즈니스 및 여타 전략적 변화 소스의 증가된 복잡성에 대해 대응하게 될 것인가?
쟁점4. 어떠한 시나리오 상에서, BPM 도입은 효과적인 조직 향상을 전달할 수 있는가?
쟁점5. 조직들은 어떤 방식으로 주요 BPM 제품 및 서비스 제공자를 평가해야 하는가? 또한 모색해야할 이상적인 벤더 능력에는 무엇이 있는가?
쟁점6. 기민하고 프로세스 가능화된 조직 또는 가상 조직을 구축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기술 및 관련 기술 아키텍처는 무엇인가?
좀 더 자세한 내용은 "Key Issues for Business Process Management, 2007"의 가트너 보고서를 참고하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